컬쥐네 다락방
2021.03.22 ~ 03.28 항해 4주차 회고록 본문
이번주 내내 자바와 스프링 공부를 했습니다 !
자바는 한번도 배워본 적 없는 언어라서 처음에 다른 언어들과 헷갈려서 힘들었어요.
이번주의 핵심은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기능이에요.
금,토 공부했던 로그인, 회원가입 기능은 아직 숙달하지 못했으니.. 다음주에 적도록 하겠습니다 !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기능을 줄여놓은 말입니다.
보통 블로그나 게시판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글쓰기, 글 읽기, 글 수정하기, 글 삭제하기 기능이에요.
이 기능을 이용해서 나만의 블로그를 만드는 작업을 했습니다 :)
항해99, Spring 첫 번째 과제 제작 일지 -2-
지난주에 제작했더너 CRUD 기능이 들어간 메모장 제작 일지입니다 ! 원래는 대문 페이지를 만들고 입장하는 방식을 생각했으나.. 페이지 전환하는 방법을 계속 적용하다 시간이 부족해서 대문을
lewis-kku.tistory.com
Timezone 설정
또 공부했던 내용 중 Timezone 지역 설정이 가장 인상깊은 내용이라 남겨보려고 합니다.
게시물을 작성하거나 수정하는 시간을 표시해주기 위해 다음과 같이 클래스를 만들어주고 Extends 해줬습니다 .
지정둔 DB에 자동으로 기록이 되도록 만들고 나중에 리스트를 불러와 보여주는 과정에서 가장 최근 글을 위로 오게끔 불러오기 위해서였어요.
localhost를 이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할 땐 제 컴퓨터의 시간이 정상적으로 적히는걸 확인했고, 그대로 AWS 서버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배포했습니다.
그랬더니 AWS서버의 시간이 우리 나라 기준이 아니라 8시간정도 빠른 시간이 기록되는 걸 발견했습니다. (아마 미국 시간이겠죠 ?)
이걸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찾았습니다.
1. Application에 main을 돌리기 전에 Timezone을 설정하도록 해준다.
이처럼 PostConstruct를 이용해 처음 실행될 때 시간을 서울로 세팅해준다.
이렇게 하면 AWS에서 저장이 될 때도 한국 시간으로 저장되는걸 확인했다 .
2. 처음 서버로 올려줄 때 시간을 셋팅한다.
java -jar -Duser.timezone=Asiz/Seoul 파일명.jar
Git Bash를 이용해서 Jar파일을 돌릴 때 -Duser.timezone=Asia/Seoul을 추가해주면 Timezone을 서울로 셋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방법은 파일을 올릴 때마다 계속 길게 입력해줘야 해서 조금 불편한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