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부방/IT (6)
컬쥐네 다락방
우아한 테크코스 프리코스 정말 감사하게도 우아한 테크코스 4기 프리코스에 합격해 3주간 우테코의 프로세스를 체험해보는 기회를 얻었다. 의욕 넘치게 과제를 만들고 이 과정에서 서치를 통해 많은 것을 배웠는데 이 과정에서 느낀 점을 기록하고 계속 돌아보기 위해 후기를 작성해본다. 사실 프리코스에 관해 이전 기수들이 진행한 과제가 어떤 기능을 구현하는 것인지 살펴봤었는데, 1주일이라는 시간동안 만들기에 정말 널널하겠다 라는 생각을 했었다. 만약 과거의 나에게 조언할 수 있다면 건방떨지 말고 자바의 정석이나 한 페이지 더 읽으라고 말해주고 싶다... 😨 1주차 숫자 야구 게임 내가 작성한 코드 : https://github.com/39world/java-baseball-precourse/tree/sanggu 1..
1주차 프로그래밍 요구사항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사항이 있다. JDK에서 기본 제공하는 Random, Scanner API 대신 camp.nextstep.edu.missionutils에서 제공하는 Randoms, Console API를 활용해 구현해야 한다. Random 값 추출은 camp.nextstep.edu.missionutils.Randoms의 pickNumberInRange()를 활용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값은 camp.nextstep.edu.missionutils.Console의 readLine()을 활용한다. 평소 알고리즘 테스트에서 사용하던 Random()을 사용하는게 아니구나라는 생각에 missionutils가 뭔지 한 번 들어가봤다. missionutils는 우리가 함수를 만..
인덱스(Index)란? 테이블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찾기 위해서 사용한다. 인덱스는 자주 사용되는 필드 값으로 만들어진 원본 테이블의 사본이라 생각할 수 있다. MySQL은 데이터를 검색할 때 첫 번째 필드부터 차례대로 테이블 전체를 검색한다. 따라서 테이블이 크면 클수록 데이터를 탐색하는 시간도 많이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인덱스를 사용하면 테이블 전체를 읽지 않아도 되므로 검색과 정렬에 대한 처리가 빠르게 이루어진다. 이때 이런 인덱스는 사용자가 직접 접근할 수 없고 검색과 정렬에 대한 처리에서만 사용된다. 인덱스는 설정된 필드 값을 포함해 데이터의 삽입, 삭제, 수정 작업이 원본 테이블에서 이루어질 경우 인덱스도 함께 수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덱스가 설정된 테이블은 처리 속도가 느려질 ..
데이터 준비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서 좋은 데이터셋이 필요하다. 데이터 셋을 확보한 뒤 Feature Engineering을 거쳐서 최종 데이터 셋을 준비하고, 이를 Training, Validation, Testing(훈련, 검증 ,테스트) 3그룹으로 나눈다. Training Set이 모델이 학습하는데 사용될 데이터이고 Validation Set은 학습 과정에서 모델의 성능 향상과 최적화를 위해 검증용으로 사용된다. Test set은 학습이 완료된 모델의 최종 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작은 데이터 셋에서는 보통 6:2:2 비율로 나뉘고, 큰 데이터 셋(백만개 이상)에서는 98:1:1로 나누어 사용한다. 나누는 이유는 너무 작은 데이터 셋에서 학습 데이터의 비중이 클 경우 모델이 학습 데이터에만 심하..
AL . Artificial Intelligence. 인간의 학습 능력, 추론 능력, 지각 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려는 컴퓨터과학의 세부 분야. 가장 먼저 연구가 시작된 분야로 머신 러닝과 딥 러닝을 포함하는 가장 폭 넓은 분야이다. Russel 교수님은 다음 4가지 관점으로 AI를 정의했다. Acting Humanly Turing Test: 이미테이션 게임을 생각하면 쉽다. 테스터는 컴퓨터와 사람에게 동일한 질문에 대한 답을 듣고 컴퓨터와 사람을 구분할 수 없다면 이를 인공지능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inking Humanly 인지과학에서 연구되는 부분이다. 사람 뇌의 내부적인 동작 방식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이 인공지능이다. Thinking Rationally 논리학, 논리적 추론의 관점에서 인공지..
운영 체제의 역할 : 시스템 자원(System Resource) 관리자 - Operating System 또는 OS 라고 부른다. 시스템 자원 = 컴퓨터 하드웨어 - CPU (중앙처리장치), Memory(DRAM, RAM) - I/O Devices(입출력 장치) - 저장매체: SSD, HDD 컴퓨터 하드웨어는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1. CPU : 각 프로그램이 얼마나 CPU를 사용할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 2. Memory : 각 프로그램이 어느 주소에 저장되어야 하는지, 어느 정도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해줘야 하는지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 3. 저장매체(HDD,SSD) : 어떻게, 어디에 저장할지 결정할 수 없다. 4. 키보드/마우스 : 스스로 표시할 수 없다. → 운영 체제의 필요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