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부방/항해 99 (18)
컬쥐네 다락방

항해 99 마지막 5주간의 프로젝트 개발 일지입니다 :) 길고 길었던 5주간의 프로젝트 개발을 무사히 마쳤습니다 ! 🎉 저와 우리 든든한 팀원들이 개발한 '책과 콩나무' 서비스는 현재 구글 Play Store에 등록되어있습니다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conner_kim.ybmb) 책과 콩나무 - Google Play 앱 중고책 거래 플랫폼 play.google.com 지난 개발 일지 이후로 정말 정말 바쁜 나날을 보냈어요. 1. 웹소켓과 Redis를 이용한 일대일 채팅 완성 웹소켓과 Stomp, Redis의 pub, sub 기능을 이용해서 일대일 채팅을 구현했어요. 두 사람의 ID를 채팅방을 생성할 때 같이 넣어놓고, 유저 정보를 항..

항해 99 마지막 5주간의 프로젝트 개발 일지입니다 :) 사실 이번 수요일까지 MVP 기능 완성 및 배포가 목적이었기에 배포 후 개발 일지를 작성하려했으나 구글 로그인 기능이 자꾸 오류가 나서 미루고 미루다가 여기까지 왔다.. 소셜 로그인은 프론트엔드 팀이 구글을 통해 인증 과정을 거치고, 토큰에 유저 정보와 구글 인증 관련 정보를 담아서 우리에게 보내주면 토큰을 통해 확인하고 필요한 정보를 내어주는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구글 인증 과정에서 계속 오류가 났고, 프론트 쪽에서 해결해주지 못해 진도가 안나갔다... 😥 - 서비스 명 확정! 우리의 서비스명이 '책과 콩나무'로 확정됐다! 내가 동화인 '잭과 콩나무'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와 거래가 완료될 때 포인트가 쌓여 점점 콩나무가 자라는 방향으로 컨셉을 설정했..

5주간의 마지막 프로젝트 개발 일지입니다 :) 지난 주까지 우리조는 어플의 방향과 컨셉, 세부 기능을 조율하느라 회의의 연속... 😥 모든 팀원들이 얻어가는게 있는 프로젝트이길 바라는 마음으로 내가 할 수 있는 작업이더라도 하나씩 분배하고 해결하도록 진행하고있는데, 이게 맞는 건지는 잘 모르겠다. 생각보다 속도가 나진 않아서.. 그래도 팀원들이 늦게까지 열심히 노력해줘서 점점 앞으로 나아가는 느낌이 좋다 - 서비스 명 그래도 이젠 오프라인 책 교환 서비스라는 구체적인 목표도 생겼고, '니책내책'이라는 서비스 이름도 정했다. 다만 이 서비스 이름은 바뀔 가능성이 높은데, 우리는 아직 추가하고 싶은 기능도 많고 확정된 서비스가 몇개 없기 때문.. 이번에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할 수록 포인트가 쌓이고 ..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부터 프로필 수정이나 게시글 업로드 과정에서 사진 파일 등록 기능이 필요해지면서 공부했던 파일 업로드 기능입니다. AWS의 S3를 사용해서 입력받은 파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미지 url을 반환하여 이 Url을 이용해 사진을 보여주는 방식을 주로 사용했습니다 :) -FileUpload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FileUploadService { private final S3Service s3Service; public String uploadImage(MultipartFile file) { String fileName = createFileName(file.getOriginalFilename()); Objec..
짧았던 2주간의 미니 프로젝트가 끝나고 채팅 기능을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이제 5주간의 마지막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 -. 미니 프로젝트 완성 lewis-kku.tistory.com/21 항해 99, 미니 프로젝트 - 항해 하우스 개발 보고서 -. 항해 하우스 🖥 프로젝트 소개 관심사가 같은 인원이 모여서 채팅이 가능한 채팅방 📆 기간 2021년 4월 12일 ~ 2021년 4월 22일 🔧 백엔드 구현기능 및 협업 툴 ubuntu18.04 - t2.micro(AWS EC2) Storage. lewis-kku.tistory.com CRUD 기능과 채팅 기능을 합쳐봤던 항해 하우스 프로젝트 ! -. 새로운 프로젝트의 시작 lewis-kku.tistory.com/22 항해 99, 실전 프로젝트 - 오프라..
이제 항해 99 마지막 프로젝트에 도착했다 ! 이번 프로젝트는 우리가 지금까지 공부했던 지식들을 이용해 실제 서비스를 런칭해보는 프로젝트 계속 웹 서비스만 제작을 해왔기에 앱 개발을 꼭 해보고싶었는데, 마침 운 좋게도 실전 프로젝트 대비 팀장 Q&A에서 React Native를 공부하는 팀원을 만나서 내가 팀장이 되어 팀을 구성할 수 있었다. (나에게 같이 해보자고 제안해주신 팀원님에게 정말 정말 감사의 인사를... ) -. 개발 서비스 정하기 우리 팀의 슬로건은 우리가 사용하고 싶은 서비스를 만들자! 였다. 처음 우리가 생각했던 서비스는 현재 위치 기반으로 주변에 힙한 장소 혹은 트렌디한 장소를 추천해주는 어플이었다. 다양한 사용자들이 주변의 장소를 지도에 표시하고 사진과 설명을 등록하면 다른 사람들이..

-. 항해 하우스 🖥 프로젝트 소개 관심사가 같은 인원이 모여서 채팅이 가능한 채팅방 📆 기간 2021년 4월 12일 ~ 2021년 4월 22일 🔧 백엔드 구현기능 및 협업 툴 ubuntu18.04 - t2.micro(AWS EC2) Storage Service(AWS S3) MySQL 8.0.20(AWS RDS) Redis server 4.0.9 Framework : SpringBoot 2.4 Java: JDK 1.8.0 IDE: IntelliJ IDEA 2020.3.3 x64 Build Management: Gradle ORM: Spring Data JPA View Template Engine: React.js(프론트엔드) Sub-Framework: Spring Security, SpringBoot ..
6주차도 정말 바쁘게 지나갔습니다 ! 😆 이제부터는 혼자서 강의를 보고 서비스를 구현하며 연습하는게 아니라 프론트와 백앤드가 협업을 통해 하나의 서비스를 완성시키는 과정이고, 또 혼자서 백앤드를 설계하는게 아니라 분업을 통해 하나의 서비스를 완성시키는 과정이에요. 혼자서 페이스 조절하며 공부하던 때와 전혀 다른 시작이고 또 분업을 통해 서로의 코드를 맞춰가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정말 어려울 것 같아요. 하지만 앞으로 회사에서 한 명의 개발자로 활약하기 위해서 얼른 익숙해져야 하는 기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생각보다 내가 만든 코드를 남들에게 설명해주는 것도 남들이 만든 코드를 읽으며 이해하거나 내 것으로 만드는 것도 어려운 작업이었어요. 느낀점 이번에 느낀 점은 정말 많았는데, 일단 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