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쥐네 다락방

항해99, Spring 첫 번째 과제 제작 일지 -1- 본문

공부방/항해 99

항해99, Spring 첫 번째 과제 제작 일지 -1-

코딩하는 갱얼쥐 2021. 3. 24. 23:44

 

Spring

기나긴 2주간의 알고리즘 공부를 끝내고 주특기 공부로 넘어왔다 ! 

앞으로도 계속 알고리즘 공부는 해야겠지만 뭔가 새로운걸 배운다는 생각에 너무 떨렸어요. 

 

JAVA

주변 사람들한테 물어보니 자바를 배웠거나 사용한 경험이 있는 분들이 많아서 내가 다른 사람들 템포를 못따라가면 어쩌나 걱정됐었어요. 

실제로 공부를 시작하고 나서 1주차때 배웠던 HTML이나 알고리즘때 사용하던 파이썬이 자꾸 생각나서 정말 헷갈려서 스트레스를 너무 받았는데, 다른 사람들도 나랑 비슷하게 진도가 나가고 있다는 걸 알게되고는 마음이 좀 편해졌다..

그렇다고 대충 대충 했다는건 아니고! 

 

CRUD 기능 

첫 번째 과제는 스프링을 이용해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기능이 포함된 웹 서비스를 만들기였습니다. 

파이썬을 이용해서 했던 경험을 이용하면 쉽게 될 줄 알았는데, 스프링에서는 테이블을 만들고 Dto를 만들어서 잠깐 데이터를 담아두기도 하고, Controller를 이용해 api 통로를 만들어주는 등 많은 부분에서 구현하는 과정이 달랐어요. 😥

 

그래서 일단 목표는 낮게 잡고 서비스를 완성시킨 다음 내가 추가하고 싶은 기능을 따로 공부해서 제출 전까지 차근 차근 추가하고 싶었고, 뼈대만 먼저 잡아놓고 천천히 꾸미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와이어 프레임

다음은 처음 계획했던 서비스의 와이어 프레임.

위에서 말했듯 계획은 최대한 간단하게 잡고 만들고 나서 하나 둘 추가하고 싶었기에 간단하게 설계했어요.

 

들어가자 마자 글이 쭉 보이면 지저분해 보일 것 같아 대문을 만들고, 입장하면 작성한 글이 보이게 하고 싶었어요.

 

안으로 들어가면 검색하기와 글쓰기 버튼이 상단에 보이고, 밑에는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 일자가 보이는 카드를 쭉 나열하고 싶었어요. 검색을 통해 내가 원하는 게시물을 찾고, 글쓰기를 통해 밑에 글을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글의 제목을 클릭하면 모달 기능을 이용해서 글의 상세한 내용이 보이도록 구현할 예정이고, 삭제하기와 수정하기 버튼을 밑에 추가해서 Update기능과 Delete 기능을 추가했어요. 

글쓰기 버튼을 누르면 모달 기능을 이용해 창이 뜨고 등록하기 버튼을 누르면 입력받은 내용을 내 DB에 저장하도록 연결할 예정입니다. 

 

API 설계 목록 

처음 설정했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GET, POST PUT DELETE 통로를 만들어주고 검색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서 GET을 만들 예정입니다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