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쥐네 다락방
2021.03.29~04.04 항해 99 5주차 회고록 본문
나만의 항해 블로그 완성
본래 이번주는 지난주에 CRUD 기능을 구현했던 게시판을 이용해서 나만의 항해 블로그를 완성하는 주였다.
게시글마다 댓글 기능을 추가하고 댓글 수정, 삭제 기능도 추가했으며 로그인과 회원가입 기능을 추가했었다 .
하지만... 회원가입하는 과정에서 입력받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검사하는 과정을 추가하기 위해서 작업을 하다가 문제가 발생했다 .. 서버에서 처리할때와 JS에서도 2중으로 검사하는 스켈레톤 코드를 보고 따라해보려고 만들어놓은 테스트 파일을 지우려고 파일들을 쭉 삭제했는데.. 내가 미쳐 저장하지 않았던 내 코드를 삭제해버렸다..
전 날부터 밤새 작업했던 내 소중한 로그인 기능과 댓글 기능이 사라져버렸고... 대체 난 왜 깃허브에 이를 푸쉬하지 않았는지.... 😥
이를 복구하려고 노력했지만 시간 내에 복구할 수 없었다.. 테스트 코드 짜는 법을 왜 배워놓고 안했는지.. ???? 😥😥😥
배운점
일단 로그인과 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다.
Spring이 제공해주는 WebSecurityConfig를 이용해서 로그인 하는 방법과 카카오 로그인을 구현할 땐 OAuth2 인증 방식을 이용한다는 것.. 사실 보고 코드의 방향성을 이해할 뿐 완벽한 이해는 어려웠다..
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법을 배웠는데... 난 사실 이 부분은 일단 과제를 구현하고 나서 다시 공부하려고 대충 공부했었다... 대체 왜 그랬는지... 그래서 난 테스트 코드를 과제 구현에서 전혀 사용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서 대 참사가 벌어졌다.. 코딩을 하는 과정에서 항상 깃허브에 풀,푸쉬를 통해 나의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게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과 내가 짜고싶은 코드가 있다면 Mock APi를 이용해서 테스트 코드를 통해 점검하는게 정말 중요하다는 걸 알게됐다..
새로운 시작
이런 대참사를 뒤로 하고 이제 프론트 팀원 2명과 나와 같은 백엔드 1명과 같이 총 4명이서 클론 코딩에 들어갔다.
다양한 홈페이지를 둘러보고 우리는 넷플릭스 구현에 도전 !
우리끼리 필요한 기능들과 API등 구현하기 전에 필요한 정보들을 조사하고 작성해 멘토님에게 상담을 받았다.
상담에서 배운 점은 시작부터 많은 것을 구현하려고 하는건 안좋은 점이라는 것과 작은 기능을 구현하고 테스트하고 또 확장해서 구현하고 테스트하는 등 단계별로 진행해보라는 것..
이번에는 꼭 내가 목표로 한 페이지를 만들고야 말테다 .
'공부방 > 항해 99'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 99, 미니 프로젝트 - 항해 하우스 개발 일지 -1- (0) | 2021.04.12 |
---|---|
항해 99, spring을 이용한 NETFLIX 클론코딩 (24) | 2021.04.12 |
항해99, Spring 첫 번째 과제 제작 일지 -2- (0) | 2021.03.29 |
항해99, Spring 첫 번째 과제 제작 일지 -1- (0) | 2021.03.24 |
2021.03.15 ~ 2021.03.21 항해 99 3주차 일기 (0) | 2021.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