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12)
컬쥐네 다락방
스토리지 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한다. 스토리지 유형 DAS Direct Attached Storage 직접 서버에 연결하는 저장소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스토리지를 네트워크로 연결 파일 기반 스토리지 SAN Storage Area Network 별도의 스토리지용 네트워크를 구성 블록 기반 스토리지 데이터 백업의 정의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는 것에 대비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복사 후 저장한다. 백업이 필요한 주요 상황 하드디스크 손상 데이터베이스 또는 소프트웨어 손상 개발자 및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데이터 삭제 백업 위치 같은 장비 내 같은 저장장치 같은 장비 내 다른 저장장치 별도의 백업 저장장치 스냅샷 특정 시점의 데이터 저장장치의 상태를 별도의 파일..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개인용 컴퓨터가 아닌 원격 컴퓨터의 자원을 활용하는 기술 언제나 (AnyTime), 어디서나(Anywhere) 사용한 만큼의 비용 지불 (Pay per user) 기업의 인프라 구성 방식 온 프레미스 (On-Premises)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식 자체적인 데이터센터 또는 서버실을 구축하고 운영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인터넷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초기 투자가 필요하지 않음 프라이빗 클라우드 (Private Cloud) 특정 대상을 지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주로 단일 기업 또는 계열사 등 일부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IaaS Infra..

워드 프레스를 접속하기 위해 주소창에 내 ip주소를 입력했을 때 DB와 연결되는 과정에서 에러가 뜰 때가 있다. 이 전 과정에서 DB 사용자 설정과 MariaDB 포트, 방화벽 모두 열어줬지만 발생했다. 그렇다면 이건 SELinux (Securiy Enhanced Linux)에 의해 접속이 막혀 발생했을 확률이 높다. 과거 리눅스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이 취약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것이 SELinux다. Linux Kernel 보안 모듈이라고도 하며, Linux의 핵심인 Kernel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 SELinux는 3가지 상태가 존재한다. - enforcing : 강제 - 추가 시스템 보안을 위해 모든 보안 정책을 사용한다 - permissive : 허용 - 서비스 거부 메..

클라우드 미니 프로젝트 목차 프로젝트 개요 1.1 목표 1.2 주제 선정 이유 1.3 진행 기간 1.4 인프라 구축 환경 1.5 서버 구성 구성 과정 2.1 웹 서버 구축 2.2 DB 서버 구축 2.3 워드 프레스 초기 설정 2.4 워드 프레스 실행 2.5 DNS 서버 구축 2.6 SSL을 이용한 HTTPS 적용 진행 과정에서 생긴 에러 해결 목록 1. 프로젝트 개요 1.1 목표 리눅스 인프라 구축을 통한 WordPress 구현 1.2. 주제 선정 이유 클라우드 수업을 들으며 공부한 네트워크 관련 CS 지식과 리눅스 시스템 지식들을 정리하고 내 것으로 만들고 싶었습니다. 리눅스 기초의 핵심이라 생각되는 서비스 관리, 소프트 웨어 관리, 네트워크 설정, 방화벽, DNS, 가상 호스트와 Apache 등을 모..
yum을 사용하다보면 Another app is currently holding the yum lock 라는 에러가 뜰 때가 있다. yum이 실행중인 상태로 멈춰있어서 새로운 yum 명령어를 쓸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이런 경우 PID 넘버를 확인해서 프로세스는 죽이던지, yum.pid의 존재 유무를 확인 후 삭제해주면 된다. [root@server ~]# yum info Mariadb-server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langpacks Existing lock /var/run/yum.pid: another copy is running as pid 2907. Another app is currently holding the yum lock; waiting for it t..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1950년대 미국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이다. 데이터 베이스는 계층형, 관계형, NoSQL로 나뉜다. 효율성을 위해 구조화 및 중복을 제거한다. DB의 특징 실시간 접근성 지속적인 변화 동시 공유 내용에 대한 참조 데이터 논리적 독립성 DB 용어 설명 DB : 데이터 베이스 DBMS :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DBA :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테이블 : 데이터가 저장된 객체 컬럼 : 테이블에서 데이터들의 속성이 같은 값 행 : 특정 테이블에서 의미있는 하나의 데이터 집합 필드 : 각각의 데이터 하나를 의미 레코드 : 여러 필드의 조합을 의미 DB 설치 및 설정 패키지 설치 # yum -y install mariadb-server 혹은 mar..

HTTP protocol의 암호화된 버전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모든 커뮤니케이션을 암호화하기 위해 SSL이나 TLS을 사용한다. SSL (Secure Socket Layer) 넷스케이프사에서 개발한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SSL이 표준화 되면서 바뀐 이름 HTTPS 암호화 방식 과정 1. 클라이언트 -> 서버로 랜덤 데이터와 사용 가능한 암호화 방식을 보낸다. 2. 서버 -> 클라이언트로 랜덤 데이터, 사용할 암호화 방식과 SSL 인증서를 보낸다. 3.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받은 인증서의 CA가 자신이 들고 있는 CA 리스트에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CA의 공개키로 복호화한다. (공개키 암호화 방식) 4. 클라이언트는 자기가 보낸 랜덤 데이터와 서버..

apache 웹 서버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특징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어느 곳에서든 웹 서버에 방문이 가능하다. 네트워크를 통해 약속된 주소로 요청시 지정된 컨텐츠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정적인 컨텐츠만 제공한다. 별도의 구성 시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웹서버의 기본적인 동작 웹 브라우저로 Client가 페이지 요청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간 의사소통을 한다. Client가 페이지 요청 시 웹서버는 요청 받은 페이지를 보여준다. 정적 웹은 파일을 읽어서 보여주고, 동적 웹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결과를 보내준다. Apache의 특징 1. 공개형 웹 서버 프로그램이며 뛰어난 성능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2. 다양한 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