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웹 개발 (12)
컬쥐네 다락방

배경 모의 면접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Java 관련 질문을 다양하게 해주셔서 내가 어떤 부분을 공부해야 하는지 알 수있어 좋았다. 그 중 가장 먼저 이 세 가지의 차이점에 대해 물어보셨다. 자바에서 쓰이는 Collection Framework는 크게 List, Set, Map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차이점을 알고 사용해보자. Collection Framwork 1. List : 저장공간이 필요에 의해 자동으로 늘어난다 ( 순서가 있는 저장공간 ) - 특징 : 순서가 있고, 중복을 허용(배열과 유사), equals()를 이용한 데이터 검색 - 장점 : 가변적인 배열(배열이 자동으로 늘어남) - 단점 : 원하는 데이터가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 속도의 문제 List 구조는 크게 Arraylist, ..

배경 자바의 컬렉션은 쉽게 말해서 객체들의 모음, 컨테이너입니다. 자바의 JDK는 자료 구조들을 컬렉션으로 만들어 제공하고있다. 컬렉션은 제네릭 기법으로 구현되어 있어서 두 개념을 공부할 필요가 있다! 컬렉션 우리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생겨나고 사라지는 객체들의 수를 예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고정 크기의 배열을 사용한다면 에러가 발생할 때가 많다. 하지만 컬렉션은 이런 고정 크기의 배열이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고 가변 개수의 객체(요소 Element)들을 쉽게 삽입하고 삭제하고 검색할 수있다.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정해진 틀이 아니라 마치 과일 바구니 같달까. ? 기존 배열이 고정 크기 이상의 객체를 관리할 수 없고 배열의 중간 객체가 삭제되면 직접 자리를 옮겨줘야 했던 것과 다르게 컬렉션은 객체의..

Spring Security 최근 Spring Security를 사용해 회원 가입과 로그인을 구현하는 것을 공부했었는데, 이 과정에서 JWT를 이용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했다. 그땐 예제를 가지고 로그인과 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하는 것에 집중했었고, 이번에는 응용을 위해 좀 더 깊게 파고들어봤다. 스프링 시큐리티에서 어플리케이션 보안을 구성하는 영역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인증(Authentication)은 보호된 리소스에 접근하는 대상, 즉 사용자에게 적절한 접근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이 때 보호된 리소스에 접근하는 대상(사용자)을 접근 주체(Principal)이라고 하며 권한(Authorization)은 인증절차가 끝난 접근 주체가 보호된 리소스에 접근 가능한..

Spring 2일부터 시작된 클론 코딩 주간. 이번 팀에서는 넷플릭스 홈페이지에 도전하고 있는데, 프론트와 백엔드의 작업을 나눠서 하다보니 지금까지 배웠던 내용들에 대해서 깊게 찾을 수 있는 시간이 생겼어요. 그래서 이 시간동안 지난주에 급하게 만들다가 다 날아가버린 회원가입, 로그인 기능에 대해서 더 자세히 공부하고 원리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시간이 없어서 이해하기 보다는 따라하기에 급급했기에 꼭 시간이 났을 때 공부하고 싶은 내용이었어요.. Spring Security의 구조 1.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와 함께 인증 요청(Http Request) 2. AuthenticationFilter가 이 요청을 가로챕니다. 이 때 가로챈 정보를 통해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