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클라우드/리눅스 (20)
컬쥐네 다락방

Linux 7으로 업데이트되면서 Network를 담당하는 NetworkManager가 새로 생겼다 Linux 6의 network.service는 인터페이스 카드에 직접 설정하는 형태 Linux 7 NetworkManager.service에서 담당 유동 ip 연결, 고정 ip 연결 같이 '연결'이라는 논리적인 설정을 하는 형태 Connection (연결) => IP 설정 어떠한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것인지, 네트워크 통신 방식은 무엇을 쓸 것인지 (와이파이, 이더넷, 블루투스) 등 인터페이스 카드 enp0s3 => nat - 외부용 enp0s8 => 원격으로 사용하기 위한 내부용 네트워크 설정 방법 4가지 1. nmcli [root@localhost ~]# nmcli dev DEVICE TYPE STATE ..

소프트웨어 추가 / 삭제 RPM Package Manager 특징 : 1. 아카이브에서 파일 시스템으로 추출된 소프트웨어로 작업하는 것 보다 더 간단하다. 2. 설치된 패키지 확인이 가능하다 3. 제거된 패키지 파일 잔재 추적이 가능하다 4.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지원 패키지를 확인 가능하다 5. 시스템 로컬 RPM 데이터 베이스에 패키지 정보 저장이 가능하다. 단점 1. 반드시 rpm 파일이 있어야 한다. 2. 의존성을 해결하지 못한다. 패키지 파일 이름 구성 : name-version-release.architecture rpm 명령어 설치 rpm -Uvh 패키지파일 경로 삭제 rpm -e 패키지명 패키지에 대한 설치 여부 rpm -qa 시스템에 설치 되어 있는 모든 패키지 확인 rpm -qa | gr..
1단계 시스템 전원 on 2단계 BIOS 프로그램의 실행 POST (Power On Selt Test) : 부팅이 시작되면 컴퓨터는 가장 먼저 자체 진단 기능을 통해 컴퓨터의 이상 유무를 검사 컴퓨터에 전원이 들어오면 전류는 CPU로 흘러 들어가고 CPU는 BIOS 프로그램을 부른다. BIOS 프로그램은 CPU를 시작으로 CMOS를 검사하고, 메모리 테스트 후 용량을 확인한다. 그래픽 카드, 키보드 등 각종 장치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고 초기화 하는 단계. 3단계 부트 매체의 검색 POST 과정에서 하드웨어 검사가 무사히 완료되면 검색된 부팅 매체 (HDD,ODD 등) 중 CMOS에 설정된 순서대로 부팅을 시도한다. MRB (Master Boot Record)에 존재하는 부트로더 GRUB를 읽어 부트 로더..
systemd init 프로세스의 대체 특징 부팅시 병렬화 처리 => 부팅 속도 향상 cgroup을 통해 자원관리 및 프로세스 트래킹 자동 서비스 종속성 관리 * 종속성 : 어떠한 프로그램를 실행하기 위해서 이전에 또 다른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어야 한다. 선택적 데몬 실행 데몬은 서버 프로세스 웹 서버, 네임 서버 DB 서버 등을 지칭. systemd 메인 프로세스는 시스템을 unit 이란 개체를 통해 시스템을 관리한다. state enabled - 부팅시에 실행된다 disabled - 부팅시에 실행되지 않는다 static - 사용자가 실행하지 않고 다른 유닛에 대해서 실행될 수 있도록 unit systemctl sub-command *.service sub-command status : 상태 확인 s..

LVM (Logical Volume Manage) 여러 하드디스크를 합쳐서 한 개의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것. 필요에 따라 다시 나눌 수 있다. ex) 2TB 용량의 하드디스크 2개를 합친 후 다시 1TB와 3TB로 나눠서 사용 가능 Physical Volume (물리 볼륨) : /dev/sda1, /dev/sdb1 등의 파티션 Volume Group (볼륨 그룹) : 물리 불륨을 합쳐서 1개의 물리 그룹으로 만드는 것 Logical Volume (논리 볼륨) : 볼륨 그룹을 1개 이상 나눠서 논리 그룹으로 나눈 것 논리 볼륨 생성 물리적 저장 장치를 논리적 장치로 관리하면서 공간 활용이 유연하고 확장성이 좋다. 미러링 및 스냅샷 기능 지원 저장 장치의 종류와 무관하게 사용가능. 물리 저장 장치 (파..
Partition 파티션 MBR GPT 개발시기 1980년대 초 1990년대 말 파티션 수 주 파티션 4개 OR 주 파티션 3개 + 확장 1개 주 파티션 128개 인식 용량 최대 2 TB 최대 8 ZB 명령어 fdisk gdisk parted 시스템 디스크 사용 절차 : 디스크 => 파티션 생성 => 파일 시스템 (file system(fs))으로 포맷 => 마운트(mount) 디스크, 파티션, 파일 시스템, 마운트 관련 명령어 lsblk : 현재 시스템의 블록장치에 관련한 상태 확인 [root@localhost ~]#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sda 8:0 0 60G 0 disk ├─sda1 8:1 0 4G 0 part [SWAP] └─sda2 ..
리눅스 작업 예약 단일성 예약과 반복성 예약으로 나뉜다. 단일성 예약 : 특정 시기에 한번 작업을 시행한다. atd라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작업. atd 서비스는 제어할 수 있는 터미널을 지정받지 못한다. 따라서 결과를 파일 저장이나 메일로 받아야한다. 출력하는 명령어를 수행하게 되면 화면에 띄울 수 없다. 출력하는 명령어의 결과를 메일로 보내오거나 라디이렉션을 이용해서 파일로 저장해야 한다. at 명령어 활용 at timespec at> 프롬포트가 나오면 해당 작업 작성 후 엔터 at> ctrl + d 를 누르면 가 뜨면서 완료 at -l 또는 atq : 예약 확인 at -c 예약번호 : 작업 내용 확인 atrm 예약번호 : 작업 예약 취소 [root@localhost ~]# at 11:10 at> da..
VI 편집기 구조 : Linux, Unix 환경에서 사용하는 vi 편집기는 명령 모드, 입력 모드, 마지막 행 모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명령 모드 : 처음 vi 편집기를 이용해 파일을 실행하면 들어가는 모드. 여기서는 방향키를 이용해 커서를 이동할 수 있고 "dd"나 "yy"로 한 줄 삭제 혹은 붙여넣기가 가능하다. "x" 는 글자 하나 삭제 명령어 2. 입력 모드 : 명령 모드에서 "i"나 "a"를 입력하면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입력 모드에서는 자유롭게 코드나 글 작성이 가능! 다시 명령 모드로 돌아가려면 "ESC"를 누르면 된다. ("i"는 커서가 현재 위치한 부분에서 시작, "a"는 커서 바로 다음 부분부터 시작) 3. 마지막 행 모드: 명령 모드에서 ":"를 입력하면 화면 맨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