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클라우드 (69)
컬쥐네 다락방
리눅스 작업 예약 단일성 예약과 반복성 예약으로 나뉜다. 단일성 예약 : 특정 시기에 한번 작업을 시행한다. atd라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작업. atd 서비스는 제어할 수 있는 터미널을 지정받지 못한다. 따라서 결과를 파일 저장이나 메일로 받아야한다. 출력하는 명령어를 수행하게 되면 화면에 띄울 수 없다. 출력하는 명령어의 결과를 메일로 보내오거나 라디이렉션을 이용해서 파일로 저장해야 한다. at 명령어 활용 at timespec at> 프롬포트가 나오면 해당 작업 작성 후 엔터 at> ctrl + d 를 누르면 가 뜨면서 완료 at -l 또는 atq : 예약 확인 at -c 예약번호 : 작업 내용 확인 atrm 예약번호 : 작업 예약 취소 [root@localhost ~]# at 11:10 at> da..
VI 편집기 구조 : Linux, Unix 환경에서 사용하는 vi 편집기는 명령 모드, 입력 모드, 마지막 행 모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명령 모드 : 처음 vi 편집기를 이용해 파일을 실행하면 들어가는 모드. 여기서는 방향키를 이용해 커서를 이동할 수 있고 "dd"나 "yy"로 한 줄 삭제 혹은 붙여넣기가 가능하다. "x" 는 글자 하나 삭제 명령어 2. 입력 모드 : 명령 모드에서 "i"나 "a"를 입력하면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입력 모드에서는 자유롭게 코드나 글 작성이 가능! 다시 명령 모드로 돌아가려면 "ESC"를 누르면 된다. ("i"는 커서가 현재 위치한 부분에서 시작, "a"는 커서 바로 다음 부분부터 시작) 3. 마지막 행 모드: 명령 모드에서 ":"를 입력하면 화면 맨 하..
명령어 실습에 사용한 data 파일 내용 # data hong 28 011-222-2222 seoul park 34 017-333-3333 kyunggi im 23 019-444-4444 chungnam son 49 016-555-5555 us gil 19 018-666-6666 korea jang 21 011-7777-7777 japan lee 16 016-8888-8888 china sa 45 017-9999-9999 canada hwang 32 015-555-5555 kwangju #exam1#exam2#exam3 redyellowred bluegreengreen whitegrayblue black white cut 형식 : cut [옵션] "파일이름" 옵션 : -c : 문자수로 열을 계산해서 출력..
시스템 명령어 시스템 정보 관련 명령어 uptime uptime은 다음 정보를 한 줄로 표시한다. 현재 시간, 시스템이 실행된 시간, 현재 로그온한 사용자 수, 지난 1분, 5분, 15분 동안의 시스템 로드 평균 (CPU 평균값) [root@localhost ~]# uptime 21:30:22 up 7:56, 5 users, load average: 0.00, 0.00, 0.00 free 리눅스 시스템에서 메모리의 전체적인 현황을 빠르게 살펴볼 수 있는 명령어. 전체 메모리의 크기, 사용중인 메모리 크기, 공유 메모리와 buffer, cache 메모리, swap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없으면 모든 프로세스가 공간 확보를 못해서 시스템 응답 불가 현상 또는 성능 저하가 올 수 있기에 ..
VMware workstation을 사용해서 리눅스 환경 구축. 리눅스 터미널에는 GUI와 가상 콘솔이 5개가 존재한다. Alt + F1 은 초기화면 Alt + F2 는 GUI 화면 여기서 가상 콘솔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Alt + Ctl + F3을 눌러주면 된다. 가상 콘솔은 F3 ~ F7까지 있다. (F7은 따로 개인 설정을 해주면 사용 가능) su (Switching user)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자를 바꿔줄 수 있다. ex) su - , su - user id 명령어를 사용하면 자신이 현재 사용중인 id 정보가 나온다. ip a 아이피 주소 조회 systemctl restart firewalld : 방화벽 설정을 건드려서 작동을 막는다. 윈도우 터미널에서 ssh root@ ip주소에서 조회한 2번..

본 내용은 네트워크에 관해 공부한 내용을 더 오래 기억하고자 기록한 내용입니다. 서비스의 종류 비연결형 서비스 :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사전에 결정하지 않고 패킷 단위로 결정하는 방식 연결형 서비스 : 데이터 전송 전에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미리 결정하는 방식 비연결형 서비스 패킷의 전달 순서 : 패킷이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되므로 도착 순서가 일정하지 않다. 상위 계층에서 순서를 재조정해야한다. 패킷 분실 가능성 : 패킷의 100% 도착을 보장하지 않는다. 상위 계층에서 분실 오류를 복구해야 한다. 인터넷 환경의 예 : IP :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지원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 UDP : 전송 계층의 기능을 지원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 연결형 서비스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TCP : 전송..

이더넷 프레임 MAC 프레임 = MAC 헤더 + LC 프레임 + MAC 트레일러 LLC 프레임 : LLC 계층이 MAC 계층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 MAC 헤더 : Preamble, Start Delimiter, Destination Address, Source Address, Length Preamble : 수신 호스트가 송신 호스트의 클록 동기를 맞추는 용도 Start Delimiter : 프레임의 시작 위치 구분 Source Address : 송신 호스트의 MAC 주소 Destination Address : 수신 호스트의 MAC 주소 Length : Data 필드에 포함된 가변 길이의 전송 데이터 크기 Checksum : 데이터 변형 오류를 감지하는 기능 이더넷 프레임의 Data ..

인터 네트워킹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능을 뜻한다. 리피터 : 한쪽 단에서 들러온 비트 신호를 증폭하여 다른 단으로 단순히 전달하는 역할. 계층 1 기능을 지원한다. 라우터 : 교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여러 포트를 사용해 다수의 LAN을 연결하는 구조 지원. 수신한 패킷을 해석해 적절한 경로로 전송하도록 경로를 배정하는 기능. 계층 1,2,3 기능을 지원한다. 브리지 : 한쪽 단에서 들어온 프레임의 MAC 계층 헤더를 다른 단의 MAC 계층 헤더로 변형해 전송할 수 있어서 종류가 다른 LAN으로 연결가능 송 수신 호스트의 위치가 서로 다른 LAN에 송하면 중개 기능을 수행하고 리피터보다 LAN과 LAN 사이의 불필요한 트래픽 발생을 억제한다. 계층 1,2 기능을 지원한다. 트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