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클라우드 (69)
컬쥐네 다락방

TCP/IP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의미한다. 서로 다른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인터넷의 기본이 되는 프로토콜이다. 특징 TCP/IP의 프로토콜은 표준안 회의 (IETF)에서 결정되는데 IETF에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도록 오픈되어 있따. TCP/IP에서는 프로토콜의 사양보다 실제 작동되는 프로토콜인지를 중시한다. -> 실제 작동되는지를 중시하여 사양이 정해지기 때문에 안정성과 실용성이 타 프로토콜보다 높다. RFC(Request For Commnets) TCP/IP의 프로토콜은 IETF에 의해 표준화되고, RFC라는 도큐멘트로 인터넷에..

전송 매체는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물리적 선로를 말한다. 네트워크는 접속 형태와 관계없이 노드와 노드, 서버를 연결하려고 매체를 사용한다. 여기서 매체는 데이터를 송신측에서 수신 측으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케이블이나 와이어 등을 말한다.] 유선 전송매체 동축 케이블 케이블 TV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케이블 방식과 유사하다. 동축 케이블은 두 개의 전도체로 구성된다. 하나는 케이블 가운데 있는 와이어이고, 다른 하나는 와이어를 감싸는 차폐용 그물망이다. 절연체는 이들 중간에 있다. 최대 전송 길이는 500M. 장점 : STP나 UTP보다 전송거리가 길다. 광케이블보다 저렴하다. 단점 : 취급이 어렵다. TP 케이블보다 취급이 어렵다. 꼬임선(Twisted Pair) : 이중 나선 케이블 꼬..
LAN 카드 LAN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는 두 대 이상의 컴퓨터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려고 외부 네트워크와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컴퓨터 내에 설치하는 확장 카드를 말한다.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물리적 장치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이 있어야한다. 전송 매체에 접속하는 역할과 데이터의 입출력 및 송수신, 프로토콜의 처리 기능 등을 담당한다. 마더 보드의 확장 슬롯에 설치하며,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하는 외부 포트를 포함하고 있다. 각 LAN 카드에는 주민등록번호처럼 고유의 식별 코드가 있다. 이렇게 할당된 48비트 물리적 주소를 MAC 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라고 한다. 이 주소는 사용자의 컴퓨터와 물리적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

네트워크란 ?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것. 프로토콜 컴퓨터 네트워크를 하기 위하여 송수신 장치 간 통일된 통신 규약 과거 통신 과정은 중앙 집중적인 형태였는데, 전쟁 중에 이런 형태는 주요 지점이 공격받게 되면 통신망이 모두 마비되는 단점이 존재했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컴퓨터끼리의 연결을 시도했는데 이를 프로토콜이라고 정의했다. 초기에는 독점적 프로토콜과 비독점적 프로토콜로 나뉘었는데 특정 업체에서 개발한 독점적 프로토콜과 학교 및 연구기관에서 개발하는 비독점적 프로토콜로 나뉘었는데, 독점적 프로토콜은 타 프로토콜과 호환 불가한 폐쇄적인 구조였다. 그리고 이를 개선해서 OSI 7 Layer라는 프로토콜 개발 기준이 수립되면서 모두 통일된 통신 규약을 가지고 프로토콜을 만들게 됐다. OSI 7 Lay..
Docker compose를 vi 편집기로 편집하다보니 명령어를 모르니 쓸 수가 없어서 간단하게 정리하게 됐습니다! . Linux, Unix 환경에서 사용하는 vi 편집기는 명령 모드, 입력 모드, 마지막 행 모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명령 모드 : 처음 vi 편집기를 이용해 파일을 실행하면 들어가는 모드입니다. 여기서는 방향키를 이용해 커서를 이동할 수 있고 "dd"나 "yy"로 한 줄 삭제 혹은 붙여넣기가 가능합니다. "x" 는 글자 하나 삭제 명령어입니다. 2. 입력 모드 : 명령 모드에서 "i"나 "a"를 입력하면 입력 모드로 전환됩니다. 입력 모드에서는 자유롭게 코드나 글 작성이 가능! 다시 명령 모드로 돌아가려면 "ESC"를 누르면 된다. ("i"는 커서가 현재 위치한 부분에..